쓸데없는 재테크

미국 연방준비은행과 한국은행 금리인하 할까?

Apple, Win and IT 2024. 5. 4.
반응형

응!

금리인하 한다.

 

올해말 금리인하가 있을 거야.

금리인하를 하면 머가 좋을까?

 

금리인하는 바로 돈을 푼다는 말이야.

돈을 풀어서 가계와 기업에 돈이 흘러들어가게 만드는거지.

 

그래서 사람들이 사업도 시작하고 기존 사업을 하던 사람들은

사업을 확장하기도하고

가계는 돈을 빌려서 그 동안 소비 못하던 제품들을 사기도 하고

집수리를 하기도 하고, 아예 집을 사서 이사를 가기도 하지.

 

즉,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동면기에 들어간 곰처럼 아무활동을 안하다가

금리가 인하되는 푸근한 봄이 오면 활동을 시작하는 곰처럼

기업과 사람들도 똑같은거야.

 

돈이 풀리는 따뜻한 계절이 오니

사람들이 경제적 활동을 활발히 시작하는거지.

 

주변에서 많이 보이겠지만

지금 주거지 주변 상가들에 빈상가가 많어

있던 상가도 높은 월세와 재료비의 인상으로 

버티지 못하고 망한 곳도 많어.

 

이 것들이 대부분 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이 모두가 자신의 돈으로 하지 않을거야.

은행에서 돈을 빌려서 해야 할 거고

그 돈은 높은 금리의 이자를 갚아야 하겠지.

 

금리가 높은 시기에 사람들은 소비가 줄어들고

상가이용을 줄이게 돼

불필요한 소비는 안하려고 노력하지.

 

그러다 보니 매출은 줄어들고 상가는 망해간다.

 

그런 악몽같은 2년이 이미 지났고

이제는 금리인하 소식들이 들려온다.

늦어도 올해 말 금리인하가 이뤄 질 것이고

늦더라도 2025년에는 금리가 인하될 것이다.

 

주식시장을 조금이라도 봤더라면 눈치 챘겠지만

이미 시장은 금리인하를 반영하고 있다.

2021년 폭락장 이후 주식가격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이미 전고점을 넘어버렸다.

 

역시나 사람들의 관심이 없을 때

주식은 남몰래 올라간다.

 

앞으로 금리인하는 자산시장의 변격적인 상승을

만들어갈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10년, 꾸준한 우상향 시장이 만들어지고

모든 자산이 다시 상승하는 시장이 올 것이다.

 

그리고 지금 현재, 자산이 없다면

10년 뒤 다시 반성하게 될거야.

 

눈뜨고 거지가 되었다고 말이지.

 

반응형

댓글

💲 추천 글